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야구 홀드와 세이브: 중간계투와 마무리 기록 조건과 차이

by 에스비비 2025. 9. 29.

야구를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경기 결과를 넘어, 선수들의 기록과 그 의미까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투수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기록 중 하나가 바로 '홀드(Hold)'와 '세이브(Save)'입니다. 중간계투와 마무리 투수의 활약을 정량화한 이 두 지표는 경기 흐름 속에서 각각 다른 역할을 맡는 투수들의 가치를 정확히 보여줍니다.

이 글에서는 야구 홀드와 세이브 정의부터 조건, 특징, 그리고 둘의 차이점까지 알기 쉽게 설명드립니다.

야구 홀드와 세이브 섬네일

 

✅ 아래 목차를 통해 원하는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목차


🧤 세이브(Save)란?

 

🔍 KBO 공식 홈페이지 바로 가기

 

세이브는 언제 기록될까?

세이브는 보통 경기의 마지막을 책임지는 마무리 투수가 받는 기록입니다. 단순히 경기를 끝냈다고 세이브가 부여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조건 중 하나를 반드시 충족해야 합니다:

  1. 3점 이하의 리드 상황에서 최소 1이닝 이상 투구
  2. 루상 주자 또는 상대 타자가 득점하면 동점이 되는 상황에서 등판해 마무리
  3. 3이닝 이상을 던져 경기를 마무리

단, 승리 투수가 되어서는 안 되며, 세이브는 한 경기당 단 한 명의 투수에게만 주어집니다.

세이브 실패 = 블론세이브

세이브 상황에서 실점을 허용해 동점이나 역전을 허용하면 '블론세이브(Blown Save)'로 기록됩니다. 이는 마무리 투수가 리드를 지키지 못한 경우입니다.


🛡️ 홀드(Hold)란?

 

⚾ wRC+: 야구 타자 생산력의 종합적 평가 지표

 

중간계투의 가치를 기록하는 방식

홀드는 마무리가 아닌 중간계투 투수에게 주어지는 기록으로, 경기 중간에 나와 팀이 앞서고 있는 상황을 유지한 채로 다음 투수에게 마운드를 넘겼을 때 부여됩니다.

홀드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발이 아닌 중간 투수로 등판
  • 팀이 앞선 상태에서 등판
  • 최소 1 아웃 이상 처리
  • 경기 중 리드를 유지한 채 교체
  • 세이브 조건과 유사하지만 경기를 마무리하지 않음

홀드는 세이브와 달리 한 경기에서 여러 투수에게 동시에 부여될 수 있습니다.


🔄 홀드와 세이브의 주요 차이점

구분 세이브(Save) 홀드(Hold)
등판 시점 경기 마지막 경기 중반
기록 대상 마무리 투수 중간계투
마무리 여부 경기를 끝냄 경기 중간 교체됨
경기당 부여 수 1명 여러 명 가능
기록 의미 팀 승리 마무리 팀 리드 유지
실점 시 영향 실점 시 블론세이브 후속 투수 실점 시 무효

 

이처럼 둘은 투수의 역할과 경기 흐름에서의 중요도를 보여주는 서로 보완적인 기록입니다.


🕰️ 역사적 배경

  • 세이브(Save): 1960년대 미국의 기자 제롬 홀츠먼이 고안 → 1969년부터 MLB 공식 기록 채택
  • 홀드(Hold): 1986년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처음 제안 → 한국에서는 2000년부터 KBO 공식 기록

이 두 기록은 불펜 투수의 가치를 정량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세이브는 언제 받을 수 있나요?

A. 3점 이하의 리드 상태에서 1이닝 이상 마무리하거나, 동점 또는 역전이 가능한 상황, 또는 3이닝 이상을 던진 마무리 투수에게 주어집니다.

Q2. 한 경기에 세이브와 홀드를 둘 다 받을 수 있나요?

A. 아니요. 하나의 경기에서 한 투수는 둘 중 하나만 받을 수 있으며, 동시에 기록되지 않습니다.

Q3. 블론세이브는 뭐예요?

A. 세이브 상황에서 마무리 투수가 실점해서 동점이나 역전을 허용하면 블론세이브로 기록됩니다.

Q4. 후속 투수가 실점하면 홀드는 날아가나요?

A. 네. 이전 투수가 남긴 주자가 실점하면 홀드는 무효가 됩니다.

Q5. 일본 프로야구와 KBO의 홀드 규정은 같은가요?

A. 거의 같지만, 일본은 동점 상황에서 무실점으로 마운드를 넘겨도 홀드를 부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결론

홀드와 세이브는 모두 팀의 승리를 위한 '불펜 투수'의 기여도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특히 세이브는 마무리 투수의 책임감 있는 투구를, 홀드는 중간계투의 안정된 운영을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현대 야구에서 승리 공식은 '강한 마무리 + 탄탄한 불펜'이 필수입니다. 따라서 이 두 기록을 이해하면 선수의 능력뿐만 아니라 팀 운영의 전략까지도 더 깊이 있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요약 정보

구분 세이브(Save) 홀드(Hold)
투수 역할 마무리 중간계투
등판 시점 경기 마지막 경기 중반
기록 조건 리드 유지하며 경기 종료 리드 유지하며 다음 투수에게 넘김
부여 방식 1명/경기 여러 명 가능
관련 용어 블론세이브 불펜 관리 지표
최초 도입 1969년 MLB 1986년 MLB, KBO는 2000년부터

 

이 글이 야구 기록 이해에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감을 남겨주세요. 다음에는 'QS(퀄리티스타트)'나 'ERA(평균자책점)' 등 투수 기록에 대해 더 깊이 다뤄보겠습니다.

혹시 다른 야구 용어가 궁금하신가요?


‼️ 함께 보면 유용한 글

🎬 쿠팡플레이 오리지널 콘텐츠 추천: 지금 꼭 봐야 할 작품

 

📲 카카오 인증서 재발급 방법: 3분 만에 쉽게 끝내는 절차

 

🧠 추천 GPTs 리스트: 내게 딱 맞는 AI 도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