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OPS, WAR 같은 지표는 익숙하실 텐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타자의 '공격력'을 가장 공정하고 정확하게 평가하는 지표인 wRC+에 대해 깊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도 몇 년 전까지는 타율이나 홈런 수만 보고 선수를 평가했는데, wRC+를 알게 된 이후로 선수 보는 눈이 확 달라졌어요.
이 글에서는 wRC+의 개념부터 계산법, 해석법, 실전 활용까지 쉽고 자세하게 풀어드립니다.
✅ 아래 목차를 통해 원하는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목차
wRC+란 무엇인가?
wRC+(Weighted Runs Created Plus)는 한 마디로 말하면, 타자가 리그 평균에 비해 얼마나 많은 득점을 만들어냈는지를 퍼센트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 리그 평균 wRC+는 100입니다.
- 100 이상이면 평균 이상, 100 이하면 평균 이하입니다.
- 예를 들어 wRC+가 150이면 리그 평균보다 50% 더 많은 득점을 만든 셈입니다.
wRC+가 특별한 이유는, 단순히 안타, 홈런 숫자만 보는 게 아니라, 볼넷, 장타율, 출루율, 그리고 무엇보다 구장 효과와 리그 환경까지 보정한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 타자 친화적인 고척돔과 투수 친화적인 잠실구장에서 똑같은 성적을 올린 타자가 있다고 할 때, wRC+는 둘의 실력을 공정하게 비교해 줍니다.
wRC+의 계산 방법
⚾ 야구 세이버매트릭스의 발전과 현대 야구 분석에 미친 영향
솔직히 wRC+ 공식은 살짝 복잡합니다. 그래도 핵심만 이해하면 됩니다.
- wOBA(가중 출루율) 계산
- 안타, 2루타, 홈런, 볼넷 등 각각 다른 가치를 반영한 출루율.
- wRAA(리그 대비 득점 기여도) 계산
- wRAA = (타자의 wOBA - 리그 wOBA) ÷ 스케일 × 타석 수
- wRC+ 계산
- 리그 평균과 구장 환경을 고려해 wRAA를 조정하여 100 기준으로 퍼센트화.
복잡해 보여도 간단히 요약하면:
"내가 평균보다 얼마나 더 잘했는지를 퍼센트로 나타낸다" 이렇게 기억하세요.
wRC+ 수치 해석법
wRC+ 수치 | 의미 | 수준 |
---|---|---|
60 이하 | 매우 낮음 | 2군 수준 |
80~90 | 평균 이하 | 벤치급 |
100 | 평균 | 리그 평균 |
120~130 | 준수 | 올스타 가능성 |
140 이상 | 뛰어남 | MVP 후보 |
실제 예시
- 2023년 박동원 선수 wRC+: 175 → 리그 평균보다 75% 높은 공격력
- 2015년 KBO 에릭 테임즈 wRC+: 222 → 역대급 공격력
저는 이 수치를 처음 알았을 때, 단순히 홈런이나 타율만 보고 선수 평가했던 게 부끄러웠어요. wRC+는 정말 선수의 진짜 가치를 볼 수 있게 해 줍니다.
wRC+의 장점과 한계
장점
- 리그와 구장 차이 보정: 쿠어스 필드든 잠실이든 공정하게 비교 가능
- 종합 공격력 반영: 볼넷, 출루율, 장타율 모두 고려
- 직관적 해석: 100 기준이라 수치 해석이 쉽다
- 시대 초월 비교: 1930년대 베이브 루스와 2025년 마이크 트라웃 비교 가능
한계
- 수비, 주루는 반영 안 됨: 공격력만 평가
- 적은 타석의 한계: 100타석 이하 선수는 신뢰도 떨어짐
- 특수 상황 미반영: 희생번트, 고의사구 등 고려 X
그래서 저는 wRC+를 볼 때 "공격력은 wRC+, 전체 퍼포먼스는 WAR" 이 조합으로 분석합니다.
wRC+ 실전 활용 팁
- 선수 영입 분석: FA 시장에서 wRC+가 꾸준한 선수를 노려라!
- MVP 투표: wRC+ 160 이상이면 강력한 MVP 후보
- 타순 배치: wRC+가 높은 타자는 2번, 3번 타순에 배치
자주 묻는 질문(FAQ)
Q1. OPS와 wRC+ 중 어느 게 더 좋은가요?
A. 둘 다 유용하지만 wRC+가 구장, 리그 차이를 보정하기 때문에 '순수 공격력' 비교엔 더 적합합니다.
Q2. wRC+는 리그마다 다른가요?
A. 네. MLB, KBO, NPB 각각 리그 평균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Q3. wRC+ 100이 낮은 건가요?
A. 아닙니다. 정확히 리그 평균입니다. 평균을 0이 아닌 100으로 설정한 점도 wRC+의 친절한 설계입니다.
결론
wRC+는 야구 타자 평가의 혁신입니다.
타율, 홈런처럼 단편적인 지표가 아닌, 볼넷, 장타, 출루 등 모든 요소를 종합하고 리그/구장 환경까지 보정하여 진짜 타자의 공격력을 보여주는 지표죠.
처음에는 낯설 수 있지만, 익숙해지면 선수 보는 눈이 진짜 달라집니다. 저도 이 지표를 알게 되고 나서부터 "와, 이 선수가 진짜 리그 최고구나"를 데이터로 확신할 수 있게 됐어요.
이제 경기 볼 때 wRC+ 수치도 같이 체크하면서 더 깊게 야구를 즐겨보세요!
요약 정보
항목 | 내용 |
---|---|
지표 이름 | wRC+ (Weighted Runs Created Plus) |
기준 | 리그 평균 = 100 |
수치 해석 | 100 초과: 평균 이상, 100 미만: 평균 이하 |
장점 | 리그/구장 보정, 종합 공격력 반영, 직관성 |
한계 | 수비, 주루 미반영, 적은 타석 신뢰도 낮음 |
활용 팁 | 선수 비교, MVP 예측, 타순 배치 |
개인 경험 | 타순 조정으로 동아리 팀 연승 기록! |
추가로 MLB와 KBO 선수별 wRC+ 순위표나, 시즌별 wRC+ 추이를 분석하는 글도 따로 작성해 드릴 수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 함께 보면 유용한 글
🎯 AI로 만드는 PPT 요약: 시간을 반으로 줄이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