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 줄여서 롤(LoL)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e스포츠 종목 중 하나입니다. 그 정점에 있는 대회가 바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즉 롤드컵이죠.
2011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롤드컵은 해마다 전 세계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며 글로벌 스포츠 축제로 성장해 왔습니다.
오늘은 역대 롤드컵 우승팀과 주요 선수들, 지역별 성과, 그리고 대회가 남긴 기록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T1, DRX, Faker, 그리고 중국 LPL의 부상까지 모두 함께 알아보세요!
✅ 아래 목차를 통해 원하는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목차
- 롤드컵이란?
- 역대 롤드컵 우승팀 및 주요 선수 (2011~2024)
- 지역별 우승 현황 분석
- 롤드컵 최다 우승 선수 TOP
- 롤드컵의 성장과 글로벌 영향력
- 자주 묻는 질문 (FAQ)
- 결론: 페이커와 함께한 롤드컵, 그리고 그 너머
- 요약
🎮 롤드컵이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은 매년 가을에 열리는 LoL 최고의 국제 대회로, 각 지역(한국, 중국, 유럽, 북미 등) 리그의 강팀들이 참가해 세계 챔피언을 가리는 이벤트입니다.
우승 상금 수백만 달러, 수천만 명의 시청자, 그리고 전설적인 선수들이 탄생하는 무대이기도 하죠.
🏅 역대 롤드컵 우승팀 및 주요 선수 (2011~2024)
연도 | 우승팀 | 주요 선수 |
2011 | Fnatic (유럽) | xPeke, Cyanide, Shushei |
2012 | Taipei Assassins (대만) | Stanley, Toyz, Bebe |
2013 | SKT T1 (한국) | Faker, Impact, Bengi |
2014 | Samsung White (한국) | Mata, imp, PawN |
2015 | SKT T1 (한국) | Faker, MaRin, Bang |
2016 | SKT T1 (한국) | Faker, Duke, Bang |
2017 | Samsung Galaxy (한국) | Ruler, Crown, CoreJJ |
2018 | Invictus Gaming (중국) | Rookie, JackeyLove, Ning |
2019 | FunPlus Phoenix (중국) | Doinb, Tian, Lwx |
2020 | DAMWON Gaming (한국) | Canyon, Nuguri, ShowMaker |
2021 | Edward Gaming (중국) | Scout, Viper, Meiko |
2022 | DRX (한국) | Deft, Kingen, Zeka |
2023 | T1 (한국) | Faker, Zeus, Keria |
2024 | T1 (한국) | Faker, Zeus, Oner, Keria |
T1과 Faker의 이름이 자주 보이시죠? 이유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 지역별 우승 현황 분석
지역 | 우승 횟수 | 대표 우승팀 |
한국 (LCK) | 9회 | T1(5), Samsung(2), DAMWON, DRX |
중국 (LPL) | 3회 | IG, FPX, EDG |
유럽 (LEC) | 1회 | Fnatic |
대만 (PCS) | 1회 | Taipei Assassins |
한국은 무려 전체 14회 중 9회 우승으로 글로벌 롤의 중심이었습니다. 특히 2013~2017까지는 사실상 한국의 독주 시대였죠. 최근에는 중국 LPL도 강세를 보이며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롤드컵 최다 우승 선수 TOP
1. 이상혁(Faker) – T1
- 우승 횟수: 5회 (2013, 2015, 2016, 2023, 2024)
- 롤드컵의 살아 있는 전설
- 유일한 5회 우승자이자, 2023~2024 2 연속 우승 주역
2. 2회 우승자들
- Zeus, Oner, Keria, Gumayusi (T1): 2023, 2024
- Bang, Wolf (SKT): 2015, 2016
- Duke: 2016(SKT), 2018(IG)
- BeryL: 2020(DWG), 2022(DRX)
Faker는 단순히 우승만 많이 한 것이 아니라, 10년 넘게 세계 최정상급 미드라이너로 활약하고 있는 점에서 더욱 전설로 불릴 자격이 충분합니다.
🌐 롤드컵의 성장과 글로벌 영향력
- 2011년: 8개 팀 참가, 상금 약 $100,000
- 2024년: 약 24개 팀, 상금 수백만 달러
- 2019년 결승: 동시 시청자 수 4,400만 명 돌파
- e스포츠 최초로 올림픽 비공식 종목으로 시범 채택 논의
- 2023년 결승전(한국 고척스카이돔): 4만 5천 명 관중 동원
- 2022년 DRX의 '언더독 스토리': e스포츠 사상 최고의 역전극으로 평가
- 글로벌 스폰서십: Mercedes-Benz, Mastercard, Spotify 등 유명 기업 참여
- 콘텐츠 확장: 'Warriors' 오프닝 쇼, K/DA 가상 그룹 공연 등 엔터테인먼트 요소 강화
- 미디어 파트너십: ESPN, YouTube, Twitch 등 글로벌 플랫폼 중계
- 지역별 개최: 2014년(서울), 2017년(베이징), 2021년(레이캬비크) 등 11개국에서 개최
초기엔 단순한 게임 대회였던 롤드컵은 지금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후원하는 메이저 스포츠 이벤트로 변모했습니다. 특히 2020년 이후 가상 콘서트(XR 기술 적용)와 메타버스 연계 등 혁신적인 시도를 주도하며 e스포츠 산업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Faker는 롤드컵에서 몇 번 우승했나요?
총 5회 우승(2013, 2015, 2016, 2023, 2024)으로 역대 최다입니다.
Q2. T1은 총 몇 번 우승했나요?
T1은 총 5회 우승으로 롤드컵 최다 우승팀입니다.
Q3. 롤드컵 결승은 어느 지역에서 가장 많이 열렸나요?
미국과 한국, 중국이 번갈아 개최했으며, 최근엔 유럽과 북미 순회 개최도 많아졌습니다.
Q4. 여성 선수의 롤드컵 출전 사례가 있나요?
아직 메인 스테이지에 출전한 여성 선수는 없습니다. 다만, 아카데미 리그나 여성 리그에서는 활동 사례가 증가 중입니다.
Q5. 롤드컵을 한국에서 다시 개최할 예정이 있나요?
2023년 대회는 한국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으며, 앞으로도 주기적으로 개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결론: 페이커와 함께한 롤드컵, 그리고 그 너머
롤드컵은 단순한 e스포츠 대회가 아닙니다. 매년 최고의 전략, 최고의 선수, 그리고 최고의 순간들이 탄생하는 무대죠.
특히 한국은 9회 우승으로 e스포츠 강국의 입지를 공고히 했고, T1과 Faker는 그 중심에서 롤의 역사를 써 내려갔습니다.
롤드컵은 단지 '누가 이겼는가'가 아니라, 그 안에서 어떤 서사가 있었고, 어떤 감동이 있었는지가 중요한 대회입니다.
다가올 시즌, 또 어떤 팀과 선수가 새로운 역사를 쓸지 벌써부터 기대되지 않나요?
📌 요약
항목 | 내용 |
대회명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롤드컵) |
개최 첫 해 | 2011년 |
최다 우승팀 | T1 (5회) |
최다 우승 선수 | Faker (5회) |
지역별 우승 현황 | 한국(9), 중국(3), 유럽(1), 대만(1) |
최근 우승팀 | T1 (2023, 2024 연속 우승) |
특징 | 글로벌 최고 수준 e스포츠 대회, 매년 새로운 스타 탄생 |
🎮 롤 팬이라면 꼭 알아야 할 역대 롤드컵 우승팀 정리였습니다!
‼️ 함께 보면 유용한 글
💾 윈도우 저장 공간 센스 설정: 자동으로 디스크 정리하자